민간 기업 부산행도 필수… HMM 이전은 그 첫발 [부산, 대한민국 해양수도]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해운 대기업 이전은 마지막 퍼즐
14개사 중 13곳 수도권에 포진
파격적 지원으로 지역 유인해야

해운 대기업 HMM의 부산 이전은 산업 집적화를 위한 상징적인 행보로 주목받고 있다. 부산신항에 정박 중인 HMM 플래티넘호. HMM 제공 해운 대기업 HMM의 부산 이전은 산업 집적화를 위한 상징적인 행보로 주목받고 있다. 부산신항에 정박 중인 HMM 플래티넘호. HMM 제공

조선·해양 플랜트 업무 이관을 통한 해양수산부의 기능 강화와 더불어 민간 기업들도 부산으로 이전해 산업 집적화를 이뤄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해양금융, 대학, 연구 기관에 이어 기업이라는 마지막 퍼즐까지 맞춰진다면, 부산은 해운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완결된 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해양 중심지로 도약할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국내 최고 항만을 보유한 부산은 이미 한국해양진흥공사, KDB산업은행 선박금융본부 등 해양 금융 기능도 보유했다는 점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국립한국해양대, 국립부경대 등은 해운 물류 전문 인력을 꾸준히 길러내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 R&D 기능 역시 집적해 있다. 실제로 덴마크 코펜하겐에 본사를 둔 Maersk, 프랑스 마르세유에 본사를 둔 CMA CGM 등 글로벌 상위 10개 해운 선사 중 7곳은 항구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해운산업의 핵심 활동인 선박 운영, 항만물류 처리, 선사 간 협력 등 실질적 운영은 부산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데 반해, 해운 기업들의 실제 의사 결정을 포함한 경영 기능은 여전히 수도권에 머무르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 조사에 따르면 국내 해운 대기업 14개사 중 13개사는 서울에 소재하고 있으며, 부산 소재 기업은 SM상선 단 1개사에 그친다. 이 같은 구조는 해운 산업 경쟁력 강화와 균형 발전에 구조적 제약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러한 점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사업인 해운 대기업 HMM의 부산 이전은 산업 집적화를 위한 상징적인 조처가 될 수 있다. 지난 7월 부산상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HMM의 부산 이전으로 국내 경제에 5년간 총 11조 2000원의 생산유발효과, 4조 4000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2만 1300명의 고용유발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사기업에 이전을 강요할 수 없기 때문에 각종 인허가 절차 완화나 파격적 지원 등을 강화해 이전을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부산상의는 “행정 인허가 절차 간소화, 부지 구입 비용 지원, 산업은행·해양진흥공사 등과 연계한 특별금융 프로그램 지원, 공공 발주 연계 인센티브를 통해 이전할 수 있는 요인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기업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탄소중립 연계 R&D 투자펀드 조성과 선박 인증 절차 행정·재정 지원 강화 등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은 “부산은 노르웨이 해양산업 전문 평가기관 ‘메놈’이 발표한 2024년 세계 선진 해양도시 10위 도시”라며 “입지적 강점에 정부의 지원이 주어진다면 해운 도시 부산의 장점이 더욱 부각되어 HMM은 물론 다른 해운 기업들도 부산 이전을 진지하게 고려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