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안전공사, ‘실시간 위치기반 굴착공사 안전 플랫폼’ 구축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통신·전기 분야와도 협업…전국 굴착 관련 안전정보 한눈에 한번에

한국가스안전공사 서원석 안전관리이사(오른쪽)가 실시간 위치기반 굴착공사 안전정보 플랫폼을 시연하고 있다. 가스안전공사 제공 한국가스안전공사 서원석 안전관리이사(오른쪽)가 실시간 위치기반 굴착공사 안전정보 플랫폼을 시연하고 있다. 가스안전공사 제공

한국가스안전공사(사장 박경국)는 최근 서울 교대역 인근에서 발생한 도시가스 매설배관 파손사고를 계기로 굴착공사로 인한 가스배관 파손사고를 막기 위해 ‘실시간 위치기반 안전정보제공 플랫폼’을 구축, 지난 28일 충남 천안의 한 굴착공사 현장에서 도시가스사 JB㈜, 통신사 SK텔레콤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현행 가스관계법령에 따르면 굴착공사를 하는 자는 누구든지 가스배관 파손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굴착공사정보지원센터에 공사 계획을 신고해야 한다. 하지만, 계획 미신고로 인한 사고가 전체 굴착공사 사고의 70% 이상을 차지함에 따라 굴착센터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번 플랫폼을 개발·시행했다.

플랫폼은 스마트폰 앱, 카카오톡 채널, QR 코드 등을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굴착공사 현장정보, 인근 굴착공사 지도, 지하 매설물 현황 및 지하매설물 관리기관의 연락처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가스에 한정하지 않고 통신과 전기 등 모든 분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등 유관기관까지 협업했다.

특히 모바일 위치정보 등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해 굴착기·천공기 등 건설기계 장비의 실시간 공사 위치를 전송받아, 사전 통보 없이 시행되는 무단굴착공사를 식별하고, 관계기관과 즉시 연결할 수 있도록 굴착공사자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한다.

플랫폼은 오는 9월 1일 오픈을 시작으로 11월 30일까지 3개월간 시범운영된다. 이 기간 중 굴착센터는 도시가스사업자 등과 협업해 굴착공사 현장관리 강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플랫폼 시연회에 참석한 서원석 가스안전공사 안전관리이사는 “굴착공사 안전사고는 한 번 발생하면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가 수반될 수 있다”며 “이번 플랫폼 구축이 국가 재난안전 체계의 한 축으로 자리잡아, 국민 안전과 기반시설 보호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가스안전공사 굴착공사정보지원센터는 굴착공사로 인한 가스배관 손상사고는 간단한 굴착계획 신고(1644-0001, www.eocs.or.kr)만으로도 예방할 수 있음을 국민 모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가스분야뿐 아니라 전력·통신·건설기계 등 타분야 유관기관과 적극 협력해 굴착공사 안전관리에 총력을 다할 예정이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