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눈] ‘일상 속 위협’이 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최근 대용량 배터리 화재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지난 17일 서울 마포구 아파트에서 전동킥보드 배터리 충전 중 발생한 갑작스러운 폭발로 큰 불이 났다.

2020~2024년 국내에서만 678건의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발생했고, 최근 3년간 증가세에 있다.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무선 청소기, 보조배터리 등 생활과 밀접한 전자기기들이 주요 발화원으로 작용하면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특정 산업의 리스크가 아닌 국민 모두가 직면한 ‘생활형 위협’이 되었다. 그렇다면 우리는 과연 리튬이온 배터리를 안전하게 사용하고 있는 걸까.

이같은 화재의 핵심은 ‘열폭주(Thermal Runaway)’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고밀도의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복잡한 전기화학 반응을 활용하는데, 충격이나 과충전, 고온 환경, 내부 결함 등이 겹치면 발열과 분해, 폭발이 연쇄적으로 이어지는 열폭주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일단 시작되면 진압이 거의 불가능하다. 2024년 6월 경기도 화성의 공장에서도 수천 개의 배터리가 연쇄 폭발하며 23명의 소중한 생명이 희생됐다.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일반적 화재와 달리 1000℃ 이상의 고온 화염과 유독가스를 동반하기 때문에 기존 분말이나 이산화탄소 소화기로는 진압이 어렵다. 그렇기에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그동안 발생한 화재도 기본적인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아 발생했다.

이에 소비자원과 소방청은 KC 인증 제품 사용, 수면 시간 충전 금지, 충전기와 기기의 호환 여부 확인, 환기 가능한 장소에서의 충전, 손상된 배터리 즉시 폐기 등을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원칙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과 대국민 안전 캠페인이 절실하다. 더 나아가 실제 사고 발생을 가정한 대응책도 마련돼야 한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편리함 뒤에 상존하는 엄청난 위험을 반드시 인지하고, 기업은 더 안전한 제품을, 정부는 더 엄격한 기준을 마련하며, 우리 모두는 일상 속에서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다. 제용기·부산중부소방서장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