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책·인문학 아우른 담론의 장 ‘큰 울림’
세화병원, 세화아카데이 2025 성료
의학 전문 심포지엄에서 인문학으로 범위를 넓혀 성장해 온 ‘세화아카데미 2025’가 성료했다.
25일 세화병원에 따르면 28년 째 이어진 이번 아카데미는 ‘과학과 인문학의 소통: 항암·방사선치료 전 가임력 보존 방안과 난자동결보존 지원사업’을 주제로 지난 23일 롯데호텔부산 크리스탈볼룸에서 열렸다. 부산시의회 이대석 부의장의 개회사로 막을 올린 행사에는 장혁표 부산대 전 총장과 아슬란 아스카르 주부산 카자흐스탄 총영사가 내빈으로 참석해 학술 교류의 의미를 더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항암·방사선치료 전 여성 환자의 생식력 보존 방안이 논의됐다. 서울대 김훈 산부인과 교수는 항암·방사선 치료 전 암 환자의 상황에 맞춘 난소 동결 등 맞춤형 치료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세화병원 정수전 부원장은 난자 동결의 원리를 소개하고, 임상 현장에서 축적된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난자 동결의 정책 현안과 연구 성과가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서지연 부산시의원은 조례 제정 이후 항암·방사선치료 전 환자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지원 정책 보완의 필요성을 알렸다. 세화병원 난임의학연구소 하아나 연구원은 난자 동결보존의 임상 성과를 토대로 임신 성공률 향상을 보여주는 최신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마지막 세션은 ‘빈자의 미학’으로 유명한 승효상 건축가가 ‘이 시대 우리의 도시와 건축’을 주제로 강연을 맡았다. 그는 건축이 공동체 회복과 인간 존엄을 지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해 깊은 울림을 전했다.
세화병원 이상찬 병원장은 “AI 시대에는 단순한 지식 전달보다 서로 배우고 토론하는 아테네 학당 같은 장이 필요하다”며 “세화아카데미가 의학·사회·인문학을 아우르는 교류의 장으로 자리 잡아 부산을 넘어 국제적 플랫폼으로 발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