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해수부 이전은 대통령 결단, 북극항로 열리면 남부권 혜택”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전재수 장관 취임 첫 기자회견
일각의 내년 선거용 지적 일축
HMM 이전 등 압축 진행 다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24일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 참석해 직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24일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 참석해 직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2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재명 정부의 국정 과제인 해수부 부산 이전, 북극항로 활성화, 해수부 기능 강화 등을 비롯해 해수부 졸속 이전, 행정 비효율성 논란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우선, 전재수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표적인 부산 공약인 해수부 이전, HMM 등 해운 대기업 이전, 해사전문법원 유치, 동남투자은행 출범 등을 두고 일각에서 “내년 지방선거용”이라고 평가절하하는 데 대해 “(이재명 정부)가 가진 문제의식의 기본이다. 아무리 정치인이 간이 크다고 하더라도 선거 때문에 중앙정부을 옮기고 북극항로를 판다는게 말이 되느냐”고 반문한 뒤, “선거와 아무 상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전 장관은 해수부가 부산에 내려와 행정력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로서, 키잡이 역할을 한다면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지금 대한민국의 지역내총생산(GRDP)이 약 2500조 원으로, 수도권인 서울·인천·경기가 전체의 53%인 1300조 원이 넘는다. 지금 부산·울산·경남은 GRDP가 350조 원에 불과하지만, 행정 기능을 총괄하는 해수부와 사법 기능을 총괄하는 해사전문법원, 경쟁력 있는 해운선사들, 동남투자은행(초기 자본금 3조 원) 등이 집적 효과를 통해 기존 부울경의 항만·조선·산업·인재 인프라와 제대로 시너지 효과를 낸다면 한반도 남단에 새로운 성장 엔진을 만들 수 있고, 서울이나 수도권 버금가는 경제 규모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전 장관은 부산항이 북극항로 중심이 되겠지만, “항만별로 LNG(액화천연가스) 에너지 항만, 컨테이너 전용 항만 등 다 특색이 있기 때문에 북극항로가 열리면 실제적으로는 여수·광양·부산·거제·울산·포항까지가 북극항로 경제권역이 된다”고 강조했다.

해수부 부산 이전을 두고 국회 업무보고에 따른 공무원의 잦은 장거리 출장 등 행정 비효율성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데 대해서는 “(이 문제를) 공약을 만들 때 충분히 고민했다”며 “이걸(행정 비효율성을) 딛고도 남을 수 있는 엄청난 이익이 있어서 선택한 것이다. 여러 인프라나 시너지 효과 등 훨씬 더 큰 이익이 있기 때문에 선택했다”고 말했다.

해수부 이전과 관련, “충분한 의견 수렴 등 공론화 과정이 없다”며 우려가 제기되는 데 대해서는 이 대통령의 ‘결단’임을 강조했다.

전 장관은 “역대 어느 정권 초기에 공약 사항을 이렇게 압축적으로 속도감 있게 진행한 적이 있느냐”고 반문한 뒤, “그렇게 못해서 정권이 명운을 걸다시피 했던 공약도 지켜진 게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내 부산 이전 방침이 정해진 해수부 이전과 더불어 HMM을 비롯한 해운 대기업 이전, 해사전문법원 유치, 동남투자은행 출범 등 과제를 압축적·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할 것이라며 속도전을 예고했다.

전 장관은 “(부산 이전) 결단 이후 남겨진 정주 여건 등 여러 해결해야 할 과제들은 장관의 몫”이라며 최대한 소통해서 소홀함이 없도록 풀어갈 것임을 강조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