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연내 부산 이전’ 디딤돌 삼아서 다른 공약도 속도 내기 ‘복안’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재명 대통령 취임 첫 기자회견

‘부산 공약’ 실행 어디까지

우선 실현 가능 공약 ‘선택·집중’
내년 지방선거 전 조기 성과 내기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 ‘속도전’
HMM 이전과 동남권투자은행
부울경 관련 공약들 이어질 듯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한 달을 맞았다. 후보 시절부터 부산에 대한 남다른 애착을 드러낸 이 대통령은 짧은 시간임에도 여러 지역 공약 가운데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집중하며 타임 테이블을 마련하는 데 집중했다. 해수부 이전을 우선하고, ‘부산 해수부’를 디딤돌로 다른 공약들까지 연계해 풀겠다는 복안으로 해석된다. 또한 우선 실현 가능한 공약부터 실행함으로써 내년 지방선거 전 가시적 성과를 내겠다는 전략도 내포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통령의 지역 공약은 해수부와 HMM 부산 이전, 동남권투자은행 설립 등 부산·울산·경남(PK)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새로운 경제 축을 마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는 말 그대로 ‘지역 공약’인 동시에 이 대통령의 대한민국 국가균형발전 기조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 대통령은 다른 공약보다는 해수부를 부산으로 옮기는 작업에 특히 집중해 왔다. 이 대통령은 취임 다음 날인 지난달 5일 처음으로 가진 국무회의에서 빠르게 체제 정비를 마쳐 조속히 국정 운영을 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이 중 해수부를 콕 찍어 부산 이전을 위한 빠른 준비를 지시하면서 지역은 물론 중앙 정치권에서도 다소 놀란 분위기가 감지됐다.

이 대통령의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 드라이브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같은 달 23일에는 부산 유일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자 대통령 선거 기간 북극항로 개척 추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관련 정책을 발굴해 온 전재수(부산 북갑) 의원을 해수부 장관으로 지명하며 다시 한번 이전에 힘을 보탰다.

또한 다음 날인 24일에는 해수부 이전을 올해 안에 이행할 수 있도록 방안을 검토하라고 강도형 현 해수부 장관에게 지시하면서 마침표를 찍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전 시기를 앞당길 것을 주문하면서 이를 위해 공간 임대 방식 등을 우선적으로 검토하라는 세부적인 내용까지 요구해 지역에서는 기대감이 더욱 커졌다. 부산 시민사회 단체에는 같은 날 “이 대통령의 해수부 부산 이전에 대한 강력한 실행 의지를 환영한다”는 긴급 성명까지 나오기도 했다.

이처럼 이 대통령이 다른 여러 공약도 있지만 해수부 부산 이전에 속도전을 펼쳐 온 것은 내년 지방선거와 밀접하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이 대통령은 지난달 7일 민주당 대표 시절 함께했던 1·2기 지도부 인사들을 한남동 관저로 초청해 가진 만찬 자리에서 “내년에 있을 부산 지방선거는 불이 나겠다”는 뉘앙스로 말했다. 이를 두고 당시에는 이 대통령의 부산 지선 언급이 단순한 덕담 수준을 넘어 지방 권력 탈환 의지를 내비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 바 있다.

결국 이재명 정부 출범 1년 후에 치러지는 제9회 지방선거가 정권의 성패를 가를 주요 변곡점으로 꼽히는 만큼 우선적으로 속도를 낼 수 있는 공약에 힘을 실어 성과를 내겠다는 전략인 셈으로 풀이된다.

지역 여권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당선되기 전까지 가장 취약 지역 중 하나가 부산이었다”며 “그러나 대선에서 역대 진보 대통령 가운데에서는 물론이고 부산 출신 대통령들보다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구애를 하면 표를 얻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취임 이후에 선택과 집중을 통해 조기에 성과를 내려고 하는 것도 결국 이러한 경험에 바탕이 된 것 아니겠냐”라면서 “해수부 장관 취임 이후에는 다른 공약들도 속도를 내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