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세상이 꽃천지 남강 악양 일대…“여기가 바로 무릉도원”
경남 함안군 봄꽃 나들이
수레국화 보라보라 반겨주는 악양생태공원
핑크빛 꽃잔디 언덕 위에는 연인 사랑 가득
하얀 샤스타데이지는 환상 비밀 정원처럼
둑방길 아래 강변 꽃양귀비, 영화 같은 풍경
사진 찍기 바쁜 관람객 온 몸 향기로 물들어
신화 속 엘리시안평원 실재한다면 바로 여기
기척도 없이 몰래 시간이 흐르더니 어느 새 5월 중순이다. 며칠 전만 해도 라디오에서 겨울 노래가 들렸는데 이제 달력은 무더위가 기다리는 6월을 향해 달린다. 초여름이 오기 전에,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기 전에 봄꽃을 구경하러 가야겠다. 목적지는 경남 함안군이다.
5월 함안군은 꽃의 천국이다. 굽이굽이 남강과 낙동강을 따라 곳곳에서 샤스타데이지, 수레국화, 꽃잔디, 꽃양귀비, 작약 그리고 청보리까지 ‘미와 색의 향연’을 펼친다. 꽃길을 따라 걷다보면 온 세상을 뒤덮은 다양한 꽃향기의 환상에 빠지지 않을 수 없다. 그럴 땐 이런 생각이 든다. 지상낙원이 따로 있나. 바로 여기가 무릉도원이지.
■악양생태공원 샤스타데이지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나오자마자 보랏빛 수레국화가 하늘거리는 강둑이 나타난다. 두 손을 잡고 나란히 걷는 할아버지, 할머니를 필두로 대가족이 봄나들이를 나왔는지 밝은 표정으로 환히 웃으며 걸어간다. 수레국화 꽃말이 ‘행복’이라는데 이들의 나들이에 딱 어울리는 축복의 단어가 아닐 수 없다.
강둑 경사지에도 수레국화가 한껏 피었다. 그 사이로는 빨간 꽃이 한두 송이씩 보이는데, 자세히 보니 꽃양귀비다. 안개꽃도 하얀 꽃대를 내밀며 ‘나 여기 있어요’라며 소리를 지른다.
금계국은 개화가 아직 멀었는지 푸른 줄기와 푸른 잎만 벌릴 뿐이다. 가끔 한두 송이씩 서둘러 터진 꽃망울이 관광객의 눈길을 모은다. 보라색 수레국화에 빨간 꽃양귀비, 여기에 곧 피어날 노란색 금계국까지 더하면 그야말로 눈이 부실 정도로 화사한 ‘총천연색’ 화원이 펼쳐지리라.
강둑을 따라 걷다 끝부분의 나지막한 언덕에 마련된 정자에서 강 아래를 내려다본다. 이곳만이 아니라 악양생태공원 곳곳에는 전망을 즐길 수 있는 시설이나 공간이 설치돼 시원한 풍광이 일품인 남강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정자 앞에는 나무 여러 그루가 강을 향해 허리를 길게 구부린다. 소나무마저 아름다운 경치에 반해 조금이라도 가까이 다가가서 보려고 그러는 모양이다.
정자 맞은편에는 또 다른 작은 언덕이 있는데 온통 하얀색과 핑크색으로 물들었다. 꽃잔디, 정식 이름은 지면패랭이꽃이다. 경남 산청군이 꽃잔디로 유명한 곳인데 이곳 꽃잔디 언덕도 그곳 못지않게 황홀한 풍경을 연출한다.
훌륭한 사진 장비를 갖춘 한 청년이 언덕 곳곳에서 젊은 여성 사진을 찍어주느라 분주하다. 다정한 사이로 봐서는 연인인 게 틀림 없다. 꽃잔디 꽃말이 ‘조화’ 그리고 ‘(남녀 간)애정’이라고 하니 둘의 사랑스러운 모습에 딱 어울리는 꽃말이다.
꽃잔디 언덕에 반한 사람은 두 연인만이 아니다. 강아지를 데리고 산책하러 나온 여성, 무엇이 그리 신나는지 연신 큰소리로 떠들어대는 중년부부는 물론 오랜 친구처럼 보이는 사람들이 언덕에서 연거푸 휴대폰을 찰칵거리며 초여름 바람만큼이나 시원한 웃음을 흩날린다.
악양생태공원 꽃구경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하이라이트라고 할 만한 꽃 정원이 한 곳 더 남았다. 바로 샤스타데이지 화원이다. 꽃잔디 언덕에서 내려가면 헬기 이착륙장이 있는데 그 너머가 바로 그곳이다. 키 큰 나무 사이로 하얀 구름 같은, 어찌 보면 솜사탕 같은 꽃이 보이면 그게 샤스타데이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꽃밭 한쪽 구석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하얀색 정자, 가운데에는 하얀색 전화박스가 놓였는데, 하얀색 샤스타데이지와 절묘한 궁합을 이뤄 천국 같은 정원을 연출한다. 그 풍경에 반해 전화박스 안팎에 서서 사진을 찍는 사람은 한둘이 아니다.
■악양둑방 꽃양귀비
샤스타데이지 화원을 한 바퀴 둘러보고 다시 꽃잔디 언덕 아래 산책로로 가면 ‘처녀 뱃사공’ 노래비가 나온다.
‘처녀 뱃사공’은 1950년 한국전쟁 때 부산에 피난을 왔던 작곡가 윤부길 씨가 나중에 서울로 돌아가다 우연히 만난 악양나루터 처녀 뱃사공 이야기를 담아 만든 노래다. 남강이 흐르는 법수면과 대산면을 잇는 악양나루터에서 노를 젓던 처녀 뱃사공이었다.
노래비를 지나면 악양루 데크로드가 나온다. 함안군의 유명한 정자인 악양루와 강 건너 악양둑방길로 이어지는 산허리길이다. ‘처녀 뱃사공’ 이야기가 어린 곳이어서 길 이름은 ‘처녀뱃사공노을길’이다.
악양루로 가는 산허리길은 약간 험하지만 5분 정도만 걸으면 되는 가까운 길이란 게 다행이다. 왼쪽으로는 높이 솟은 험한 바위가, 오른쪽으로는 유유히 흐르는 남강이 여행객의 발걸음을 격려한다.
이 길에 ‘처녀 뱃사공’ 외에 ‘노을’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그만큼 노을이 아름답다는 뜻이다. 여러 글에서 찾아보니 악양루 경치의 최고봉은 남강도, 바위도 아닌 노을이라고 한다. 강으로 해가 떨어지며 노을이 물드는 악양루 석양은 함안군의 절경으로 손꼽힌다. 하지만 오늘은 노을이 아니라 꽃을 보러온 게 아니던가. 발걸음을 여기서 멈출 수는 없는 노릇이다.
악양루에 올라 남강 건너편을 바라보니 감탄이 절로 터져 나온다. 둑 아래로 붉은 꽃양귀비가 지천으로 피었다. 그야말로 무릉도원이다. 그리스신화의 영웅들이 죽으면 올라간다는 낙원 ‘엘리시안 평원’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바로 이런 모습이 아닐까.
급한 마음에 악양루를 대충 둘러보고 내려온다. 바로 아래에 강을 건너는 부교가 보이고, 부교를 지나면 강둑이 나온다. 함안군과 의령군, 창녕군을 따라 흐르는 물길을 따라 338㎞에 걸쳐 조성된 둑이다. 함안군 사람들은 이 둑을 ‘악양둑방길’ 또는 ‘뚝방길’이라고 부른다.
둑방길 아래 강변이 바로 악양루에서 내려다본 꽃밭, 즉 악양 꽃양귀비 화원이다. 본래 이름이 개양귀비인 꽃양귀비는 한해살이 풀이다. 식물에 ‘개’라는 이름이 붙으면 ‘본래 식물보다 질이 떨어지거나 비슷하지만 아니’라는 의미라고 한다. 그러니 개양귀비는 진짜 양귀비가 아닌 가짜 양귀비라는 이야기다. 이름이 그다지 예쁘지 않다 보니 ‘개’를 빼고 ‘꽃’이라는 글자를 넣어 부르는 것이다.
남강에는 강물이 도도히 흐른다면 둑방길 아래 강변에는 꽃양귀비가 바람을 따라 흘러간다. 푸른 풀 사이로 분홍색과 흰색 꽃양귀비는 물론 보라색 수레국화, 하얀 안개초도 보인다. 다양한 색이 환상처럼 어우러진 꽃밭은 1km 가까이 이어진다. 아직 100% 만개한 것이 아닌데도 이 정도인데, 모든 꽃이 다 피어난다면 얼마나 아름다울지 짐작조차 되지 않는다.
가끔 사진을 찍어가면서 초여름 바람에 흔들리는 꽃양귀비 사이를 천천히 걷는다. 영화 속으로 뛰어 들어 멋진 장면을 연출하는 것 같기도 하고, 프랑스 화가 클로드 모네의 수채화 속에 빠져 주인공이 된 것 같기도 하다. 이 풍경이 현실인지, 그림인지, 꿈인지 구별하는 게 쉽지 않다.
필자만 그런 게 아니다. 악양생태공원에서 산책을 즐기던 사람들처럼 이곳을 찾은 사람들도 환한 미소를 숨지지 못한 채 휴대폰 버튼을 누르기에 바쁘다. 그들의 온 몸은 마치 빨간 꽃양귀비 향기에 물든 것처럼 향긋하게 느껴진다.
양산을 챙겨든 젊은 여성은 밝은 얼굴로 꽃양귀비 사이 흙길을 신나게 걸어간다. 발걸음에 담긴 경쾌함과 기쁨으로 미루어 보건대 화원 어딘가에서 사랑하는 연인이 기다리는 게 분명하다. 한 중년부부는 느긋하게 아무 말 없이 꽃밭 사이를 거닐며 따스한 햇살을 즐긴다.
강변 맨 끝에 잎이 무성한 나무 여러 그루가 보인다. 그중 가장 큰 나무 아래에는 작은 의자가 놓였는데, 여러 사람이 모여 편히 앉아 쉬는 중이다. 나무 아래로 들어가 그늘을 잠시 즐기면서 주변을 둘러본다. 남강 너머로 방금 다녀온 악양루가 보인다. 강변을 따라 달리는 대법로 길가 이팝나무에는 하얀 꽃이 화사하게 피었다. 이팝꽃은 꽃양귀비를 바라보며 사랑스러운 눈길을 보내고, 꽃양귀비는 새햐얀 이팝꽃에 반해 온 몸을 흔들며 아양을 떤다.
꽃양귀비 영어 별명 중에 ‘플랜더스 양귀비’라는 게 있다. 제1차 세계대전 무렵 전투가 치열하게 벌어져 많은 사람이 죽었던 벨기에 플랜더스 지역에 꽃양귀비가 많이 자라 이런 별명이 붙었다고 한다. 이런 역사 때문에 지금 꽃양귀비는 제1차 세계대전 종전 기념일에 전쟁 희생자에게 바치는 꽃이 됐다.
역사라는 게 묘하다. 함안군이 어떤 곳인가. 한국전쟁 때 국군과 연합군이 펼쳤던 낙동강 방어전선의 최전방이 아니었던가. 당시 경찰, 연합군 일부 병사 등이 이곳에서 북한군과 혈전을 벌여 승리를 거둬 낙동강 도하를 막아냈다. 이곳에는 경찰승전기념관과 기념탑도 있다.
함안군청이 플랜더스 양귀비의 역사와 의미를 알고 꽃양귀비 단지를 조성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찌 됐던 함안군의 역사에 딱 어울리고, 당시 목숨을 잃은 병사들에게 바치기에 가장 어울리는 꽃인 것만은 분명하다.
■강나루생태공원 작약, 청보리
강나루생태공원은 악양생태공원에서 자동차로 25~30분 거리인 칠서면 낙동강 변에 자리를 잡은 곳이다. 여기에는 41만㎡ 규모 청보리 밭과 4만6천㎡에 이르는 작약 꽃밭이 조성됐다.
작약은 꽤 고급스럽고 품격 있게 보이는 꽃이다. 사진에 담았을 때 아주 짙은 색감으로 깊은 인상을 주기도 한다. 이와는 달리 청보리는 아주 서민적인 식물이다. 강나루생태공원은 정반대의 이미지를 가진 두 식물이 지척에서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경쟁을 벌이는 곳이다.
하지만 강나루생태공원은 조금 실망스러웠다. 지난 9~11일이 축제기간이어서 복잡하기도 했고, 작약 꽃밭과 청보리 밭이 기대에 못 미치기도 했다. 악양생태공원과 악양둑방에서 너무 깊은 인상을 받은 게 이유일지도 모른다.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해서라면 모르지만 풍경을 즐기는 게 목적이라면 굳이 이곳을 찾으라고 권하고 싶지는 않다.
남태우 기자 le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