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탄소중립은 바이오 에탄올이 답입니다”

배동진 기자 djba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일리노이대 스테판 뮐러 교수 인터뷰서 밝혀
미국곡물협회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초청
“에탄올 사용시 국민건강 개선에도 기여”
“전기차 에너지원 생산에서 탄소배출”

시카고 일리노이대(UIC) 스테판 뮐러 교수가 지난 3일 미국 시카고 UIC에서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기자들과 문답하고 있다.미국곡물협회 한국사무소 제공 시카고 일리노이대(UIC) 스테판 뮐러 교수가 지난 3일 미국 시카고 UIC에서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기자들과 문답하고 있다.미국곡물협회 한국사무소 제공

“수송부문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바이오 에탄올과 하이브리드 사용이 답입니다. 전기차 시대는 앞으로 오래 기다려야 합니다.”

바이오 에탄올이 수송부문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스테판 뮐러 시카고 일리노이대(UIC) 교수는 지난 3일 미국 시카고 UIC 내 에너지자원센터(ERC)에서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소속 기자들과 가진 인터뷰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이번 인터뷰는 미국곡물협회가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기자들을 초청해 이뤄진 자리다.

바이오 에탄올은 옥수수와 사탕수수, 카사바 등이 원료로, 전 세계적으로 휘발유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미국과 EU(유럽연합), 일본, 중국 등을 비롯한 세계 60개 국에서 대기환경 개선,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 연료를 의무적으로 혼합하도록 하는 의무혼합제도(RFS)를 경유와 혼합할 수 있는 ‘바이오 디젤’에만 적용하고 있다.

바이오 에탄올은 한국의 경우 바이오 에탄올을 항공연료와 산업용으로 수입하고 있으며, 아직까지 자동차 연료로는 채택하지 않고 있다.

뮐러 교수는 “1990년대 이후 옥수수 수확량이 증가하면서 투입 사료량도 줄어들었다”면서 “생산된 옥수수를 에탄올로 만드는 공장에서 에탄올만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사료도 만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연료별 탄소 집약도를 보면 휘발유가 95~110이고, 옥수수 에탄올은 45 정도이며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를 적용하면 20 정도로 줄어든다

탄소중립을 위한 전기차 보급과 관련해 최근 한국에서도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정체)과 잇따른 화재 등으로 수요가 주춤하고 있다.

이와 관련 뮐러 교수는 “미국에서도 5년 전부터 전기차에 대한 기대가 컸고 정부 차원에서 확대 정책을 하고 있지만 현재 채택률을 보면 둔화 추세”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어 “전기차 원료가 어디서 오는냐를 따져보면 결국 풍력과 태양광만으로 충당할 수 없고, 전력발전을 위해 석탄 등을 많이 사용한다”고 탄소중립에 대한 전기차의 이중성을 지적한 뒤 “결국 바이오에탄올 사용 없이는 탄소중립 목표 도달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미국 시카고 일리노이대 에너지자원센터.미국곡물협회 한국사무소 제공 미국 시카고 일리노이대 에너지자원센터.미국곡물협회 한국사무소 제공

뮐러 교수는 2019년에 에탄올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울, 베이징, 도쿄, 멕시코시티, 뉴델리 등 세계 5개 도시를 연구했다. 그는 이를 통해 에탄올의 자동차 연료 사용이 THC(총탄화수소), VOC(휘발성유기화합물)와 같은 오존형성 탄화수소의 배출감소에 영향을 미쳤고, 방향족 탄화수소 폴리사이클릭과 가중 독소로 유발되는 암의 현저한 감소, 심장질환과 관련되는 일산화탄소(CO) 배출감소라는 결과가 도출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궁극적으로 유해한 배출물질을 감소시키며 이로 인한 국민건강 개선과 의료비 절감에도 기여한다”고 덧붙였다.

한국 정부의 경우 정유사의 실적감소, 전기차·배터리 제조사의 실적 저하 우려로 에탄올의 자동차 연료확대에 소극적인 입장이다. 한국의 에탄올 확대 방안에 대해 뮐러 교수는 “멕시코의 경우 MTBE (무연 노킹 방지용 휘발유 첨가제) 생산 회사가 강력한 로비 영향력이 있는데, MTBE로 나오는 온실가스가 일반 휘발유를 사용했을 때보다 더 많다”면서 “한국 상황이 어떤지 모르겠지만 바이오 에탄올을 사용하는 게 목표 도달의 일부가 돼야하는 것만은 확실하다고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뮐러 교수는 일리노이 디브라이대 출신으로 시카고 일리노이대 도시 계획·에너지 정책 박사와 도시 계획·에너지 정책 농산물 개발 부문 수석 이사를 거쳐 현재 수석 경제학자로 근무중이다. 시카고 일리노이대의 바이오에너지·운송 배출 연구 그룹을 이끌고 있다.



배동진 기자 djba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