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위원의 뉴스 요리] 공중파 TV 드라마에 웬 한글 자막?

곽명섭 논설위원 kms01@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30여 년 만에 돌아온 드라마 ‘수사반장’
본방송에 사상 처음 한글 자막 내보내
“줄거리 이해 도움” vs “드라마 집중 방해”
편리함도 좋지만 핵심 놓친다면 곤란

1971년부터 1989년까지 방영된 TV 드라마 ‘수사반장’은 그 배경 음악이 특히 인상적이었다. 우리나라 타악기 주자 1세대로 꼽히는 류복성 씨가 지금도 생소한 ‘봉고’라는 악기로 서스펜스 수사물의 분위기와 딱 떨어지는 음악을 선보였다. “빠바바~ 바바바바!” 경쾌한 듯하면서도 무언가에 쫓기는 듯한 긴박감까지 더해진 리드미컬한 봉고 소리는 수사반장의 상징으로 통했다.

온 국민의 기억 속에 각인된 수사반장이 최근 30여 년 만에 주말 드라마로 다시 돌아왔다. 세월이 흐른 만큼 출연진이 바뀐 것은 당연한데 공중파 드라마 사상 처음으로 시도한 서비스로 인해 시청자들 사이에 또 뜨거운 화제가 되고 있다. 바로 한글 자막을 본방송에 처음 내보낸 것이다. 공중파 드라마에 모국어 자막이라니 대체 어찌 된 일일까.


1971년부터 1989년까지 방영된 TV 드라마 ‘수사반장’이 최근 30여 년 만에 다시 돌아왔다. 특히 국내 방송 사상 처음으로 본방송에 한글 자막을 도입해 안팎의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최근 방송을 시작한 드라마 ‘수사반장 1958’의 한 장면. MBC 화면 캡처 1971년부터 1989년까지 방영된 TV 드라마 ‘수사반장’이 최근 30여 년 만에 다시 돌아왔다. 특히 국내 방송 사상 처음으로 본방송에 한글 자막을 도입해 안팎의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최근 방송을 시작한 드라마 ‘수사반장 1958’의 한 장면. MBC 화면 캡처

■ 모국어 자막, 68년 만의 첫 시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가 아닌 공중파 방송사의 드라마에서 한글 자막이 본방송에 나온 것은 1956년 국내 최초의 드라마가 전파를 탄 이후 처음이라고 한다. 햇수로는 68년 만이다. 우리말 드라마에 굳이 한글 자막까지 나오니 시청자들은 뜻밖이라고 여기면서도 신기해하는 분위기다.

그런데 왜 모국어 드라마에 한글 자막까지 넣어야 했을까. 우선 TV 시청자층이 고령화됐고 OTT의 대중화로 자막과 함께 보거나 줄거리 위주로 빠르게 훑고 지나가는 새로운 시청 습관을 반영한 것이라는 설명이 제기된다. 방송사 측도 시청자들이 더 편하게 드라마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막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OTT를 통해 이미 자막에 익숙해진 상태여서 대체로 편리하다는 반응이 많다고 한다.

또 말썽 많은 층간 소음을 피해 아예 드라마 소리를 최대한 줄인 채 자막으로 드라마를 볼 수 있는 이점도 든다. 게다가 카톡 등 문자를 통한 정보나 의사 전달에 익숙해 있는 점도 한글 자막의 확산 이유로 꼽힌다. 즉, ‘시끄러운 소리’보다는 ‘조용한 문자’가 낫다는 것이다.


우리말 드라마의 한글 자막에 대해서는 편리하다는 반응도 많지만 드라마 집중에 다소 거슬린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막의 편리함 속에서도 핵심을 놓치지 않는 지혜가 필요해 보인다. ‘수사반장 1958’ 장면. MBC 화면 캡처 우리말 드라마의 한글 자막에 대해서는 편리하다는 반응도 많지만 드라마 집중에 다소 거슬린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막의 편리함 속에서도 핵심을 놓치지 않는 지혜가 필요해 보인다. ‘수사반장 1958’ 장면. MBC 화면 캡처

■ 드라마 집중에 방해된다는 시각도

한글 자막이 시청자들의 눈길을 끄는 데는 일단 성공한 듯 보인다. 하지만 드라마 몰입을 방해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막을 읽으려고 집중하다가 오히려 중요한 장면을 놓치거나 흘려보내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연출 의도는 물론 배우의 연기에 대한 집중도가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단순히 줄거리만 따라가는 시청이 아니라면 연출 의도나 배우의 연기와 같은 드라마의 핵심 요소가 묻힐 수도 있다.

일부에서는 한글 자막 없이도 시청자들이 콘텐츠를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드라마 속 배우의 대사를 알아듣기 쉽다는 게 자막이 필요한 이유라고 한다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추가 작업을 해야 한다는 얘기다.

또 출연 배우도 더 정확한 대사 전달을 위해 평소 발성 훈련에도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예전처럼 연극 무대 등을 거쳐 방송 드라마나 영화로 진출하는 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 얻은 인기를 바탕으로 연기에 도전하는 경우라면 더욱 발성 훈련을 통한 정확한 대사 전달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어쨌든 엄연한 모국어 방송인데 소리 외에 자막까지 드라마에 등장하게 된 것은 갈수록 정보 전달 수단의 다양화라는 현 추세를 반영한 흐름으로 여겨진다. 다만 여기에 정보 과잉의 일상에 물든 현대인의 조급증이나 ‘빨리빨리’ 문화를 더 부추기는 경향으로 자막 문화가 확산한다면 이는 바람직한 방향이 아닌 듯싶다. 편리함과 빠름에 휩쓸려 정작 핵심 요소를 놓친다면 이 또한 무미건조한 일이다.

곽명섭 논설위원 kms01@busan.com




곽명섭 논설위원 kms01@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