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전재수 “해수부 기능·역할 강화, 1~2달 내 성과 있을 것”
                    전 장관, 30일 국회 국정감사서
해수부 기능 강화 의지 드러내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종합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종합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산업통상부 소관인 조선·해양플랜트 기능의 해수부 이관을 두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그는 “1~2달 이내로 해수부의 기능·역할 등과 관련해 성과가 있을 것”이라며, 산업부의 부정적 기류 속에서도 기능 강화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30일 국회에서 해수부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종합감사를 진행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해수부의 기능 강화 방안이 주요 논의로 다뤄졌다.
국민의힘 조승환 의원은 전 장관을 상대로 “제대로 된 해수부 이전을 위해 기능 강화 등을 포함한 해수부의 로드맵이 필요하다”며 “전 장관은 해수부 2차관 신설, 기능 강화 논의 등에서 지속적으로 발을 빼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지난 9월 대정부질문에서 김정관 산업부 장관에게 질의한 내용을 언급하며 “김 장관이 조선은 해양과 연결돼 있지만 IT, 기계, 소부장 등과도 연계돼 산업부가 맡는 게 맞다고 했다”며 “김 장관의 발언을 보면 정부 입장이 이미 정해진 것 아니냐. 조선·해양플랜트 기능을 해수부에 이관할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어 “해수부 특별법이 상임위에서 논의되는 11월 7일까지 관련 기능을 어떻게 가져올 것인지에 대한 로드맵을 제출해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전 장관은 “성실히 준비해서 제출하겠다”며 “제가 다 드리지 못하는 말씀이 있다. 저를 믿고 맡겨 주시면 제가 잘 하도록 하겠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전 장관은 이어 “조선·해양플랜트 분야를 특정해서 말씀드리는 건 아니다”면서도 “1~2달 내로 해수부 부산 이전의 실질적인 기능·역할·조직과 관련해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조경태 의원이 “선사 등은 해수부가, 조선소는 산업통상부가 관할하게 돼 있어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자, 전 장관은 “조선 분야 이관은 자칫 부처 간 영역 다툼으로 비춰질 우려가 있다”며 “공개적으로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우리 조선산업과 해운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국민들이 보시기에 영역 다툼으로 보이지 않게 잘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전 장관의 이날 발언은 해수부의 역할 확대와 기능 강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부가 조선·해양플랜트 기능 이전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자, 일각에서는 해수부가 실질적인 기능 강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그러나 전 장관이 직접 추진 의사를 밝히며, 해수부가 조율의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