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국내 대학 첫 ‘AI 통번역 안경’ 시범 도입
‘스마트 안경’ 쓰면 외국어 통번역돼 자국어로 바로 눈앞에…전 세계 20개 언어 가능
교육, 연구, 행정 등 대학 전 영역 도입 예고…글로벌 학습환경 혁신 가속화
부산대학교(최재원 총장)는 국내 대학 최초로 통번역에 특화된 ‘AI 안경(스마트 글라스)’을 교육, 연구, 행정에 시범 도입하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부산대가 추진 중인 ‘AX 대전환(Artificial Intelligence Transformation) 프로젝트’의 핵심 일환으로, 첨단 AI 기술의 도입 적합성과 학습·연구·행정 전반에의 활용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추진됐다.
이번에 도입된 ‘AI 통번역 안경’은 착용자가 실시간으로 다국어 자막을 시청할 수 있도록 설계된 혁신적 교육 도구로, 강의나 회의, 세미나, 국제 교류 현장 등에서 외국어로 진행되는 발언을 즉각적으로 인식·번역해 안경 안에서 착용자의 시야에 자연스럽게 자막 형태로 표시해 준다.
한국어와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비롯해 스페인어, 프랑스어 등 20여 개의 다국어를 98% 이상 정확도로 지원하며, 지원 언어는 70여 개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지원되는 스마트 안경은 최신 음성인식 및 자연어처리(NLP) 기술이 결합돼 있어 통역의 정확성과 반응속도 면에서도 기존의 모바일 번역 앱의 성능을 능가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를 위해 부산대는 AX 대전환의 컨트롤타워인 AX선도위원회를 지난 15일에 개최하고, ‘AI 통번역 안경’ 및 ‘통번역 앱’을 우선 시범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부산대가 도입하는 ‘AI 통번역 안경’은 엑스퍼트아이엔씨㈜의 제품으로 2025 CES 참가해 전 세계에서 가장 가벼운 AI 스마트안경으로 선보인 바 있다.
이번 시범 운영은 부산대가 주도하는 ‘AX 대전환 프로젝트’의 실증형 파일럿 과제로, AI 기술의 실효성과 도입 적합도를 다각도로 검증하기 위한 과정이다. 부산대는 이뿐만 아니라 AX선도위원회를 통해 교육 분야와 더불어 연구 데이터 분석, 행정 자동화, 캠퍼스 내 정보 접근성 향상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 기술을 순차적으로 도입·검증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부산대는 KMAC(한국능률협회컨설팅)과 협력해 ‘AI 신뢰성·윤리성 검증체계(AI Reliability & Ethics Framework)’를 공동 설계하고, 이를 캠퍼스 전반에 적용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부산대는 ‘AI 통번역 안경’을 교수진과 행정 부서, 대학원 강의실 등에서 시범적으로 도입·운영하고, 시스템의 효용성을 평가한 후 단계적으로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특히, 그동안 지원이 미흡했던 외국인 유학생 심리상담 영역에도 적용해, 교육·연구뿐만 아니라 학생 지원 전반에 걸쳐 언어 장벽을 해소하고 만족도 높은 교육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내 대학 중 최초로 ‘AI 학습 보조 웨어러블 시스템’의 실질적 운영을 선도할 방침이다.
최재원 부산대 총장은 “이번 AI 안경 통번역 시스템은 단순한 기술 실험을 넘어, 대학 교육의 접근성과 포용성을 근본적으로 확장하는 혁신 사례가 되기를 바란다”며 “언어 장벽으로 인한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고, 전 세계 우수 인재들이 부산대에서 자유롭게 학문적 역량을 펼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김형일 부산닷컴 기자 ksol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