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이전·북극항로 개척에 부산 지역 대학들 나선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경대,해수부 이전 대응委 꾸려
정책·국제협력 방안 발굴 계획
대학별 포럼·세미나도 잇따라

국립부경대는 해수부 부산 이전과 해양 관련 프로젝트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달 ‘해양수산부 이전 대응 위원회’를 꾸렸다. 지난달 31일 열린 첫 회의 모습. 국립부경대 제공 국립부경대는 해수부 부산 이전과 해양 관련 프로젝트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달 ‘해양수산부 이전 대응 위원회’를 꾸렸다. 지난달 31일 열린 첫 회의 모습. 국립부경대 제공

부산 지역 대학들이 이재명 정부가 출범 초반 강력하게 드라이브를 거는 해양수산부 이전과 북극항로 등 해양 정책에 발맞춰 적극 대응에 나서는 모습이다.


국립부경대는 대학 최초로 ‘해양수산부 이전 대응 위원회’를 꾸렸다. 위원회는 대학 단위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과 관련한 분야별 대응 전략과 함께, 앞으로 추진될 대형 해양·수산 프로젝트의 효과적 추진 방안 등을 마련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위원회는 △수산 정책 △어업 △양식 △해양 △수산식품 △조선해양기자재 등 6개 분과로 구성되며 해당 분야 전문가인 교수 1~4명이 배치돼 분과별 정책 개발과 교육, 국제협력 방안 수립 등을 논의할 전망이다. 위원장은 하명신 대외부총장, 부위원장은 남종오 교수(자원환경경제학전공), 본부 지원은 천은준 기획부처장이 맡는다.

국립부경대는 수산과학대학, 환경·해양대학 등 2개의 단과대학에 해양수산 분야 18개 학과가 집중돼 있어, 논의의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립부경대는 지난달 31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다음 달까지 위원회를 운영해, 도출된 과제 등을 해양수산부에 전달할 방침이다. 이후 대학과의 협력 등 추진 상황에 따라 위원회 운영은 연장될 수 있다.

대학 단위에서 각종 포럼도 속속 열리고 있다. 포럼에서는 공통적으로 북극항로 개척 프로젝트 등 해양과 관련한 대규모 사업에서 관련 인재 양성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국립한국해양대학교 RISE 사업단은 지난달 30일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북극항로 연관 산업 발전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서는 북극항로 연계 산업에 대응한 인력 양성의 중요성과 대학의 역할이 집중 논의됐다. 지역 대학이 주도해 지산학연 협력 확대를 기반으로 한 특화 교육과정 개발하고, R&D와 취창업 연계 등을 통해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지난달 21일 국립부경대에서 열린 ‘글로벌 해양수도 부산의 미래 전략과 비전’ 포럼에서는 대학이 ‘블루푸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융합기술 개발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나서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수산물로 만든 식품을 가리키는 ‘블루푸드’는 지속 가능한 미래 성장 산업으로 꼽힌다. 블루테크는 이 같은 블루푸드 산업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신산업이다.

국립한국해양대도 지난달 29일 ‘이재명 정부 북극항로 정책과 국립한국해양대학교의 역할’ 세미나를 열고 북극항로 시대 국립해양대의 역할을 논의했다. 국립한국해양대는 북극항로 개발 정책을 학교의 교육·연구 전략과 연계하고,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정책을 제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동근 국립한국해양대 총장은 “북극항로는 국립한국해양대학교가 가진 학문적 역량과 국가 해양 정책을 연결하는 교차점이며, 우리 대학이 국가 미래 전략의 선도 기관이 될 수 있는 기회다”고 밝혔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