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렌스, 기술 유출 시비로 잃어버린 3년…새 성장 동력 찾는 지역 기업
3년간 사법 리스크 겪은 코렌스
기술 유출 혐의로 고소 당한 뒤
수주 대상 제외·협력 사업 중단
연루 직원은 제대로 업무 못 봐
의혹 해소 전까진 막대한 피해
기술 유출·탈취를 둘러싼 기업 간 시비는 빈번하지만 지역 자동차부품 기업인 코렌스가 3년에 걸쳐 겪은 사법 리스크는 중소기업에 이런 일이 닥치면 기업 기반이 흔들릴 정도의 위기가 된다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준 사례로 기록됐다.
기술 기업 사이에는 인적자본 이동이 활발한 탓에 기술 유출은 무엇보다 예민한 문제다. 굴지의 대기업도 이런 시비에 휘말리면 막대한 손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자본이 넉넉지 않고 법적 대응할 여력도 크지 않은 기술 중소기업은 기술 유출 시비에 휘말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핵심 고객과 거래가 끊기게 되고, 사태가 장기화하면 기업 존립마저 위협을 받을 수밖에 없다.
코렌스 역시 2022년 경쟁사의 기술 유출 혐의에 따른 고소 사태를 맞은 이후 국내외 고객사로부터 수주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직간접적인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검찰과 경찰로부터 수사를 받게 되면서 관련 업계의 의혹을 사게 됐고, 수주 무산 등 직접 타격도 입었다.
코렌스가 포함된 자동차업계는 하이브리드나 전기차로 전환하는 시기여서 기술 유출 시비가 종종 불거지는 분야다. 업계 선두 기업들의 경우에는 기술 유출 문제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다. 지역에서는 이번 ‘코렌스 사태’를 상징적인 사례로 본다. 자동차업계 한 관계자는 “자동차업계에서는 이직이 잦고 기업 차원에서도 무엇보다 회사 자료 관리에 철저하다”며 “하지만 법적 다툼으로까지 이어지는 일도 적지 않게 일어나는데 코렌스가 이번에 겪은 일이 대표적”이라고 전했다.
코렌스도 기술 유출 시비에 휘말리면서 법적 대응에 진을 뺄 수밖에 없었고, 다행히 3년에 걸친 노력 끝에 검찰로부터 일단 불기소 처분을 이끌어냈다. 검찰은 코렌스 경쟁사 측이 유출됐다고 주장한 파일이 자사의 승인 없이는 다른 장치에 저장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하는 등 오랜 수사 끝에 불기소처분을 내렸다. 수사 과정에서 이메일 등 방대한 자료 조사를 진행해야 해 연루 직원들도 제대로 업무를 볼 수 없었다.
기업 내부의 고충만이 아니다. 시비에 휘말린 해당 기업은 의혹이 해소되기 전까지 수주나 거래 등 실질적인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고객사들 역시 업무 협의 자체를 진행하지 않는 게 관행이다. 코렌스의 경우도 경쟁사가 의혹을 제기한 2022년 이후 고객사로부터 수주 대상에서 제외되고 개발 관련 협력 사업이 중단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어야 했다.
코렌스는 아직 법적 분쟁이 모두 끝난 것이 아니지만 기업 성장을 위한 노력을 멈출 수 없다고 보고 기술 개발 및 고객사 확대 등 다양한 영업 활동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나아가 드론을 비롯해 방위산업, 항공 분야의 고부가가치 모빌리티 시장 진출도 꾀할 예정이다. 기술 고도화 측면에선 탄소복합소재의 부품도 독자 개발해 잠수정 개발용으로 납품할 예정이며,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도 양산화 기술을 함께 개발해 나간다. 코렌스 측은 “이와 더불어 1000억 원까지 투자 규모를 확대해 수년 내 IPO(기업공개)를 추진하는 등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코렌스를 고소했던 경쟁사 측은 31일 보도자료를 통해 “검찰의 수사 자료에 미진한 부분이 있고, 법리를 잘못 해석한 부분이 있어 즉시 항고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뿐만 아니라 검찰이 코렌스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하지 않는 등 적극적으로 수사를 진행하지 않고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