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이전 등 4대 과제 동시다발 진행"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취임
"동남권에 해양수도권 만들 것"

전재수 신임 해양수산부 장관이 2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가진 후 해수부 기자실을 방문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재수 신임 해양수산부 장관이 2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가진 후 해수부 기자실을 방문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24일 취임 일성으로 이재명 대통령 부산 공약인 해수부 이전, HMM 이전, 해사전문법원 유치, 동남투자은행 출범 등 4개 주요 과제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겠다고 공언했다.

전 장관은 이날 오전 취임식 직후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기자실에서 첫 간담회를 갖고 “해수부가 연말까지 내려가고, HMM을 비롯한 해운 대기업, 해사전문법원, 동남투자은행 등 어느 것이 먼저다 할 것 없이 압축적·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해수부 기능 강화와 관련해서는 “해양정책과 산업정책이 믹스되려면 (산업통상자원부) 조선·해양플랜트 업무를 가져와 해수부 기능과 역할이 강화되면 시너지 효과를 더 가속화시킬 것”이라며 “조선·해양플랜트 기능 이전도 해수부 기능 및 역할 강화 측면에서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산업부에서 1개 과 10명이 일하는데, 해수부에 오면 같은 10명에 1000배, 1만 배 실적을 낼 수 있다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전 장관은 “(해수부의 부산 이전은) 한반도 동남권에 ‘해양수도권’을 만들자는 것”이라며 “시너지를 내면 새 성장 엔진을 만들 수 있다. 새 바닷길인 북극항로가 열리면 엄청난 변화가 생길 텐데, 해수부가 부산에 내려가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울경의 기존 항만·해운·조선·산업·인재 인프라에 행정·사법·금융까지 집적해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겠다”고 했다.

해수부 직원 이사 지원 등과 관련해서는 “선례를 모으고 있다”며 “원칙은 불편함을 걷어낼 수 있는 자원을 총동원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 장관은 정치권 일각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이 내년 지방선거용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 데 대해 “(이전이) 너무 잘 돼 긍정적이라서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겠으나, (선거를) 전제로 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내년 지방선거 부산시장 출마 여부에는 확답을 피했다.

해수부 복수 차관제 도입 문제는 “기후변화, 식량안보 위기 등이 있어 수산 분야에 신경을 써야 한다”며 “전담 차관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수산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할 시점에 농촌진흥청과 같은 수산청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지만, 부처마다 (청이) 있으면 정부의 지불 능력이 될까”라며 정부 내에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