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일기] 균형발전 걷어찬 현대건설이 ‘지역사회공헌’ 자화자찬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안준영 경제부 기자

현대건설은 지난 21일 지역사회공헌 인정기업으로 3년 연속 최고 등급을 달성했다는 내용의 홍보용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공동 주관하는 ‘지역사회공헌 인정제’에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고 자평했다. 경로당 노후 시설 개선, 임직원 봉사 활동, 독거노인 대상 생활 물품 지원 등이 현대건설이 올해 내세운 핵심 성과다.

국토균형발전의 핵심이자 동남권 지역민의 30년 숙원 사업인 가덕신공항 건립 사업을 6년이나 지연시킨 건설사가 적어도 ‘지역사회공헌’을 타이틀로 자화자찬할 일은 아니다. 컨소시엄 대표사였던 현대건설이 불참 선언만 하지 않았더라도 상황이 이렇게 뒷걸음질치지는 않았을 테다.

현대건설은 지난 5월 컨소시엄 불참을 선언하면서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공기 확보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안전한 공항을 짓자는 데 반대할 이는 아무도 없다. 하지만 현대건설이 내세운 안전이라는 구호는 지나치게 편의적이고 자가당착적이다.

현대건설은 가덕신공항의 앞선 3차례 입찰 참여를 통해 84개월이라는 공사 기간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다. 이는 전문가들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 산출한 기간이고, 31차례 자문회의와 16차례 업계 간담회를 거친 합의의 결과물이다. 현대건설도 이를 기본 조건으로 받아들이고 입찰에 참여했다.

10조 원이 넘는 국가적 프로젝트에, 그것도 컨소시엄 대표사로 참여하면서 건설 공사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인 공기에 안전을 이유로 몽니를 놓는 행위는 이해하기 힘들다. 국내 2위의 건설 대기업이 입찰 안내서에 적힌 공기를 손바닥 뒤집듯 바꾸려는 행태는 발주처인 국토부를 어느 지방의 조그만 재개발 조합을 상대하는 것쯤으로 여긴다고밖에 볼 수 없다. 이런 선례를 가만히 놔두면 앞으로 국책사업이 제대로 이뤄지겠나.

가덕신공항이 뒤로 밀려난 자리에는 또다시 지역 감정과 정치 논리가 뒤엉키고 있다. 정부가 약속한 국책사업을 지연시킨 쪽은 따로 있는데, ‘고추나 말리게 될 공항은 왜 짓냐’는 식의 조롱과 비난이 난무한다. 케케묵은 갈등을 또다시 수면 위로 끌어올려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킨 데에 현대건설의 책임도 분명하다. 현재 국토부는 현대건설의 계약 불이행 여부와 관련해 법제처에 국가계약법 해석을 공식 의뢰한 상태다. 지역사회를 뒷걸음질시키고 갈등을 조장한 책임은 반드시 물어야 한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