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부산 동구, 전국 인구감소지역 중 유일하게 청년 늘어난 이유는?
최근 5년 순유입 1436명 기록
청년 창업·빈집 사업 등 ‘효과’
재개발 통한 인구 유입 영향도
부산동구청 건물 전경
부산 동구가 전국에서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89개 기초단체 중 유일하게 청년층(만 19~34세) 인구는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청년 인구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전국적 흐름 속에서 부산 동구는 오히려 반대의 결과를 보인 셈이다.
11일 국회미래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인구감소지역 인구 이동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부산 동구의 청년층 인구는 순유입을 기록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5년간 부산 동구의 청년 순이동(전입자 수-전출자 수)은 1436명으로 집계됐다. 동구는 2021년 행정안전부로부터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
경북 울릉군(-70명)이 부산 동구에 이어 인구감소지역의 청년 순이동 순위 2위를 차지했다. 2위라고는 하지만 오히려 청년층이 줄어든 수치다. 이어 3위는 인천 옹진군(-307명), 4위 강원 양양군(-502명), 5위 대구 남구(-547명) 등의 순이다. 나머지 88개 기초지자체도 모두 순유출을 보였다. 인구감소지역 전체의 98.9%가 청년층이 빠져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동구의 사례는 이례적인 결과로 평가받았다.
전문가들은 부산 동구의 청년 순유입이 지역의 정책적 대응과 생활 여건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고 있다. 동구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창업 지원, 도시 재생, 주거환경 개선 등 다양한 사업을 꾸준히 추진해 왔다.
대표적인 정책은 ‘청년 창업자 육성지원사업’이다. 동구는 예비창업자와 초기 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 자금, 임대료,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초기 창업 부담을 줄여 청년층이 도심 내에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이다. 또 최근에는 예산 9억 원을 들여 도심형 창업 공간 ‘이바구플랫폼’을 개소해 운영하는 등 청년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리적 조건도 순유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동구의 경우 부산도시철도 1호선과 KTX 부산역, 주요 시내·시외버스 노선이 집중돼 있어 교통 접근성이 높다. 동구청 관계자는 “교통망과 생활 인프라가 밀집돼 있어 청년층이 생활과 이동을 병행하기에 유리한 환경”이라며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창업과 주거, 취업 지원 등 실질적인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거 환경의 변화도 청년층 정착을 뒷받침했다. 동구는 노후 건물을 철거하는 ‘빈집 라이트 업’ 사업을 추진해 낙후 지역을 정비했고, 2020년 이후 초량동과 범일동 일대 재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새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 상권이 활기를 되찾았다. 생활 인프라가 확충되고 가족 단위 인구가 늘어나면서 청년층의 거주 선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