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전 주기적 관리체계 마련하겠다”
8일 전기차 배터리 안전 확보 방안 토론회
박용선 국토부 과장 “안전한 교통수단 인식 기여”
이종욱 교수 “배터리 기술 개발 다층적 접근”
“배터리 제조 단계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적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소비자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유연한 정책 설계를 통해 실효성을 높이겠습니다.”
국토교통부 박용선 자동차정책과장은 8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신화월드에서 열린 ‘글로벌 e-모빌리티 네트워크 포럼’에서 ‘전동화 시대, 정부의 e모빌리티 안전 정책 방향’이라는 제목의 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2025 전동화 시대로의 대전환’을 주제로 열린 이번 네트워크 포럼은 9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제12회 국제e-모빌리티 엑스포’의 사전행사로 개최됐다. 세계e-모빌리티협의회(GEAN)가 주최하며, 국제e-모빌리티 엑스포 조직위원회·한국자동차기자협회·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가 공동 주관했다.
박용선 과장은 “정책 방향의 초점을 전기차 생태계 전반의 안전 정착에 두고 있다”며 “이는 단지 사고를 예방하는 수준을 넘어 국민들이 전기차를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세대 e-모빌리티 안전 기술 트렌드’로 주제연설을 한 한국기술교육대 이종욱 교수는 “최근 인천 청라 등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로 배터리의 안전성 확보가 전기 기반 모빌리티의 신뢰성과 직결되는 주요 과제가 됐다”면서 “전기차 배터리 관련 기술 개발은 화재 예방부터 발생 후 확산 억제까지 전 주기적 안전 강화를 목표로 다층적 접근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활용한 이상 감지·경고 시스템뿐 아니라 배터리 셀 내부 구성의 열적 강화, 배터리 팩 내부의 확산 방지 등도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기차 대중화에 속도를 내고 있는 현대차그룹도 안전성 확보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차·기아 기술연구소 정창호 배터리성능개발실장은 “현대차그룹은 전동화를 통해 환경 부담을 경감하고 고객들에게 업그레이드된 이동 경험을 제공한다는 확고한 방향성을 갖고 있다”며 “현대차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다중 안전망을 통해 고객 안전을 확보하고 배터리 기술 차별화를 달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하성용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장을 좌장으로, 주제발표자와 한국교통연구원 오재학 전 원장, 법무법인 세종 이광범 고문, 원주한라대 최영석 교수,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유영준(자동차기술전문지 카테크 발행인) 고문 등 패널들과 논의가 이어졌다.
이광범 고문은 “BMS가 과연 주차하고 난 뒤에도 계속해서 배터리 상태를 점검하는지 따져봤더니 제조사마다 달랐다”면서 “정부와 관련 업계가 BMS에 대해 세부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고, 관련 업계와 함께 유기적으로 결합된 경고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영준 고문은 “과거 LPG 자동차를 사려면 가스 안전 교육을 실시했는데 이와 비슷하게 전기차를 타는 소비자들에게도 전기차 안전교육을 위한 충전 마일리지 혜택 등을 내걸고 최소한의 안전 교육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한편 이날 포럼참가자들은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공동선언문도 발표했다. 선언문에는 정부 정책과 기술혁신의 유기적 연결, 국제적 협력 확대, 전기 모빌리티의 지속 가능성 실현 등이 담겼다.
배동진 기자 djba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