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쇄신안 줄다리기… 김용태 “당원 뜻 묻자” vs 송언석 “불필요”
김용태 “혁신안 즉시 실행” vs 송언석 “혁신위 논의 필요”
당원 여론조사엔 선 그은 송언석
지도부 이견 속 김용태 거취 쟁점으로
당내 쇄신 방향을 둘러싸고 국민의힘 지도부의 충돌이 표면화되고 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자신이 제시한 5대 개혁안의 즉각 시행과 전당원 여론조사를 요구했지만, 송언석 원내대표는 여론조사를 거부하고 조기 전당대회와 혁신위 구성을 우선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쇄신을 둘러싼 지도부 간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18일 오전 국회에서 3선 의원들과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선수별 모임에서 많은 의원이 조기 전당대회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며 “전당대회를 조기에 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송 원내대표는 전날 초선·재선 의원 간담회를 시작으로, 이날에는 4선 이상 중진, 3선 의원들과 차례로 만나 당 쇄신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전당대회 개최 시점에 대해서는 “전당대회는 최고위 의결 사항”이라며 “비대위원장을 제외한 비대위원이 공석이라 정치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금 날짜를 바로 정할 수는 없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전당대회와 관련한 정치적 의사결정이 김 위원장 임기 후 새 비대위 임명 혹은 권한대행 체제가 될 수 있냐는 질문에는 “그것도 하나의 정치적 결정이 될 수 있다”며 “아직 결정된 것은 없지만 정치적 의사결정이 있을 수 있다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당내 분위기에 따라 비대위 체제를 재정비할 가능성도 열어둔 셈이다.
핵심 쟁점인 김 위원장의 ‘5대 혁신안’ 가운데 하나인 전당원 여론조사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재확인했다. 송 원내대표는 “당원 여론조사는 안 하는 것으로 결론 난 것 아니냐”며 “의원들 사이에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적절하지 않다는 시각과 한 번쯤 해볼 만하다는 의견이 공존하지만, 지금 결론을 내리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제시한 안을 포함해 당내 혁신을 위한 원내 운영 등에서 변화와 쇄신이 필요하다”며 “혁신위를 구성하자는 의견이 많았고, 그 안에서 5대 혁신안을 논의하자는 방향으로 공감대가 있었다”고 밝혔다. 당 개혁에는 공감하지만, 구체적인 실행 방안은 혁신위 출범 이후 결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앞서 김 위원장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개혁안의 즉시 실행을 거듭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혁신 의지가 강하다면 지금 즉시 개혁안을 실행하면 된다”며 “혁신위를 통해 다시 공전시키겠다는 건 많은 시민들에게 오해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역 민심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지역 시민들과 소통하면서 정말 가슴 아픈 얘기를 듣는다. ‘국민의힘을 해체하라’는 얘기”라며 “이런 분들에게 우리가 드리는 답이 혁신위라는 건, 실망한 중도 보수층 시민들이 이 부분을 어떻게 생각할지 의원들이 심각하게 다시 고민해봐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앞서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 ‘대선 후보 교체 당무감사’ 등을 포함한 5대 개혁안을 공개하고, 당내 여론을 모으기 위한 전당원 여론조사를 제안한 상태다. 그는 “제가 비대위원장으로 있는 동안에는 당원 여론조사를 통해 개혁안에 대한 의지를 모아가는 게 중요하다”며 “당원 여론조사를 거부할 명분은 없다. 당원 의사를 묻는 것 자체가 대화하고 설득할 수 있는, 갈등 해결의 시작점인데 자칫 갈등이 일어날 수 있다는 말로 당원 여론조사를 거부한다는 게 선뜻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한 바 있다.
조기 전당대회 개최에는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김 위원장이 제시한 혁신안을 둘러싼 국민의힘 지도부의 의견 충돌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전당대회 시기, 비대위 재편, 혁신위 구성 문제까지 맞물리면서 당 쇄신 방향에 대한 입장차가 뚜렷하다. 당내 절차와 분위기를 둘러싼 이견 속에, 김 위원장의 거취 문제까지 불거지며 갈등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