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홀 담당 인력 고작 2명뿐… ‘발밑 위험’ 속수무책 부산시
핵심 탐사 장비도 GPR 1대뿐
작년 조사 요청만 86곳 달해
기간제 2명으론 조사 역부족
지난달 서울 도로 한복판에 지름 20m 크기의 싱크홀(땅꺼짐)이 발생해 오토바이 운전자가 한 명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부산시가 싱크홀을 파악할 수 있는 인력과 장비가 부족해 지역 곳곳이 싱크홀에 무방비하게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단 두 명이 차량형 장비 한 대로 부산 전역을 탐사하는 실정으로 싱크홀에 사실상 속수무책인 실정이다.
8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2018년부터 싱크홀 탐사 장비로 차량형 GPR(지표 투과 레이더)을 운용하고 있다. 승합차 하부에 레이더 장치를 부착한 해당 장비는 500MHz 레이더를 지면에 발사, 반사되어 돌아온 레이더를 토대로 지하에 매설물이나 싱크홀 등을 파악하도록 돕는다. 해당 장비는 지면을 훼손하지 않고 1.2m 깊이의 싱크홀까지 파악한다. 한 대당 가격은 7억 5000만 원 정도다.
싱크홀 사고를 예방할 사실상 유일한 방법으로 꼽히나 부산 전역의 발밑 안전을 책임지는 차량형 GPR는 한 대뿐이다. 단 한 대가 싱크홀 조사를 위해 매년 300km 거리를 돌아다닌다. 장비가 한 대밖에 없어 노후 하수관로가 집중된 곳이나 도시철도가 지나는 도로 중심으로 탐사한다. 인력도 부족하다. 기간제 공무원으로 채용된 전공자 2명이 각각 운전사와 2개 팀을 구성해 탐사를 수행한다.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탐사 수행부터 해당 자료를 분석하는 일이 모두 2명에게 집중되고 있다.
장비와 인력 부족은 지역별 싱크홀 대응 능력 저하로 고스란히 이어진다. 부산 16개 구·군에서 의뢰하는 싱크홀 조사는 최대 한 달까지 소요된다. 지난해 기초지자체가 시에 요청한 싱크홀 조사는 모두 86개 구간이다. 올해는 지난달 기준으로는 도시철도 공사 구간 등을 중심으로 21구간이 접수됐다.
지난달 싱크홀로 오토바이 운전자가 사망한 서울은 차량형 GPR 4대를 보유하고 전문 인력 9명이 근무하고 있다. 해당 장비와 인력으로도 지난달 사고를 막지 못했는데, 이를 고려하면 부산은 싱크홀 사고에 더 취약한 것을 알 수 있다.
부산에서도 크고 작은 싱크홀 사고가 잇따르면서 시민들 불안은 커지고 있다. 지난 2일 사하구 괴정동 한 아파트 앞 도로에서 가로 100cm, 세로 50cm, 깊이 50cm 싱크홀이 생겼다. 상수도관 노후로 싱크홀이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9월에는 사상구 학장동의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 인근에 대형 싱크홀이 생겨 트럭 2대가 8m 아래로 추락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싱크홀 사고는 주기적인 관리로 예방할 수 있다며 장비와 인력 확충을 조언한다. 부산대 토목공학과 박수완 교수는 “싱크홀 70~80%가 지반에 묻혀 있는 관 누수로 발생한다”며 “싱크홀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을 데이터화하고 누수 여부를 체크, 주기적으로 장비를 통해 공동 여부를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