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부산형 분산특구’ 에코델타·강서산단 1048만 평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 강동동 등 7개 동 일대 대상
분산 에너지 특화 사업 초안 마련
공급 자원 유인형 모델로 차별화
부산·울산·제주 선정 경쟁 치열

부산시가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와 인근 산단 일대 총 1048만 평을 ‘부산형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으로 추진한다. 산업부는 내년 상반기에 ‘1호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을 선정할 방침이다. 24일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와 그린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일대. 김경현 기자 view@ 부산시가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와 인근 산단 일대 총 1048만 평을 ‘부산형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으로 추진한다. 산업부는 내년 상반기에 ‘1호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을 선정할 방침이다. 24일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와 그린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일대. 김경현 기자 view@

부산시가 ‘부산형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으로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EDC)와 강서구 산업단지 일대 총 면적 1048만 평(34.6㎢)을 지정할 방침이다.


24일 부산시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시는 산업부 가이드라인에 맞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491만 4000평(16.2㎢) 및 강서구 산단 556만 6000평(18.4㎦)을 합쳐 총 면적 1048만 평(34.6㎢)을 ‘부산형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일명 부산형 분산특구)로 지정하는 내용의 ‘부산형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 사업계획’ 초안을 마련했다.

시는 현재 가이드라인에 맞춰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 사업계획 신청서를 작성 중이다. 우선, 시는 사업계획 초안이 나온 만큼 분산에너지진흥센터로 지정돼 사전 컨설팅을 제공하는 한국에너지공단과 전력거래소뿐만 아니라 산업부의 의견을 경청하고 보완해서 국내 전문가의 자문도 받을 예정이다.


<‘부산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대상지> *사업계획 초안이므로 표기된 면적 합계와 실제 면적 합계에 다소 오차가 있음. 부산시 제공 <‘부산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대상지> *사업계획 초안이므로 표기된 면적 합계와 실제 면적 합계에 다소 오차가 있음. 부산시 제공

특화 지역 면적은 사상구와 비슷하다. 특화 지역 대상지는 부산 강서구 강동동, 구랑동, 대저동, 명지동, 송정동, 미음동, 생곡동 등 7개 법정동 일대다. 구체적으로는 강서 산업단지 가운데 △명지·녹산(국가산단) △부산신항배후국제산업물류도시(일반산단) △생곡(일반산단) △미음지구(일반산단)와 더불어 △부산에코델타시티(EDC) △명지지구 택지개발지를 아우른다. 다만, 화전(일반산단)·신호(일반산단)는 면적 상한 ‘1000만 평’으로 인해 제외됐다.

이번 초안은 산업부가 부산시 등 전국 시도에 내린 가이드라인에 특화 지역 면적을 ‘1000만 평 이하’로 규정하고 있어 산업단지 일부를 축소해서 만든 것이다. 이달 안에 산업부의 가이드라인 최종안이 나오면 특화 지역 면적은 다소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특화 지역은 가이드라인상으로 3개 모델이 제시됐는데, 부산시는 ‘공급 자원 유인형’으로 경쟁 지자체인 제주·울산 등과 차별화했다.

시는 특화 지역인 부산에코델타시티에 데이터센터 입주 및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 업종을 유치했거나 유치할 예정이다. 특히 특화 지역에는 안정적인 전력과 열원 공급을 위해 기저 전력으로 한국전력이 들어오지만, 단기적으로 2027년까지 에코델타시티 내 분산 에너지(수소연료전지, 수소혼소LNG열병합)와 인근 산업단지(태양광)를 연계한 수요지 인근 도심지 공급 자원 유인형 모델을 추진한다. 특화 지역 전력에서 분산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20~30%가 될 전망이다.

특화 지역인 에코델타시티 및 강서 산단의 전력 수요는 2022년 기준 3094GWh(기가와트시)에서 2030년 1만 1143GWh로 3.6배 정도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이 같은 전력수급·공급 전망치는 초안으로, 가이드라인 최종안이 나오면 확정된 면적에 맞춰 수정될 예정이다. 특화 지역 지정 사업계획 신청서 평가는 총괄 계획 45점, 단위 계획 55점 등 총 100점이다.

산업부는 이달 말 최종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12월 특화 지역 관련 고시, 내년 2~3월 특화 지역 사업계획 신청서 접수 등 절차를 거쳐 내년 상반기에 ‘1호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을 2~3곳 정도 선정할 방침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서 부산과 울산, 제주를 비롯해 전남, 경북, 경기, 인천, 충주 등 10~11개 지자체가 특화지역 신청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준비 측면에서 보면 역시 관심도가 높은 부산·울산·제주 3개 지자체 앞서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이란?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상대적으로 설비 용량 규모가 작은 에너지 사업자가 전력 시장을 거치지 않고 전기 사용자에게 직접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구역.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