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 국가신용등급 'AA' 상향…"불황 극복 했다는 의미는 아냐"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장기적인 경제침체에도 불구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해외 투자 등에는 유리하겠으나 우리 경제가 불황을 극복했다는 신호는 아니라고 강조한다.  
 
기획재정부는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상향 조정했다고 8일 밝혔다.
 
한국이 S&P로부터 AA등급을 부여받은 것은 사상 최초로 이 등급은 전체 21개 등급 중 3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이는 중국(AA-·전망 '부정적')보다 한 단계 높고 일본(A+)보다는 두 단계 위다.
 
S&P 기준으로 볼 때 AA는 영국, 프랑스와 같은 등급이다. 다만  한국의 신용등급 전망이  '안정적'(stable)인 반면, 이들 국가는 '부정적'(negative)이다.
 
기재부에 따르면 S&P는 한국이 최근 수년간 선진 경제보다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냈고 지난해 대외 순채권 상태로 전환되는 등 대외부문 지표가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또 통화정책이 견조하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지원해왔다는 점도 등급 상향조정 배경으로 제시했다.
 
S&P는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배경에 대해 지정학적 위험이 크게 증대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바탕으로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정학적 위험이 크게 증대되지 않는 등 별다른 변동 요인이 없으면 앞으로 2년간 신용등급이 내려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단 북한과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는 점은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할 수 있는 요인으로 들었다.
 
기재부는 최근 호주, 영국, 일본, 핀란드, 중국 등 선진국, 신흥국을 가리지 않는 전 세계적인 국가신용등급 하향조정 추세 속에서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상향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전문가들도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 상향은 분명 긍정적인 신호라고 입을 모은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번 S&P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상향조정한 것은 부채상환 능력을 평가한 것 뿐이므로 우리 경제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고 경계한다.

이동훈 기자 ldh@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