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초등 전수 조사하니… 10곳 중 7곳 어린이보호구역 ‘부적합’

김한수 기자 hanga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306곳 중 228곳 기준 미달 적발
구역 시·종점·노면 미표기 등 다수

부산 사상구 엄궁동 한 초등학교 학생들이 교차로에 설치된 정류장에서 버스에 탑승하고 있다. 부산 사상구 엄궁동 한 초등학교 학생들이 교차로에 설치된 정류장에서 버스에 탑승하고 있다.

부산 초등학교 주변 어린이보호구역 10곳 중 7곳 이상은 구역 안전 표시가 설치 기준에 맞지 않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에 어린이보호구역은 800곳 넘게 운영된다. 부산 각 지자체의 철저한 점검과 시설 보강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 감사위원회는 18일 부산 306개 초등학교 주변 어린이보호구역 안전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시는 지난 1월 8일부터 4월 19일까지 어린이보호구역 시작점부터 종점까지의 안전시설 설치 현황을 전수 점검했다.

점검 결과 306개 초등학교 중 현행 어린이보호구역 관련 기준에 맞게 설치된 곳은 25%인 78곳에 불과했다. 75%에 해당하는 228개 보호구역은 관련 안전 기준에 부적합하게 설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시는 이들 구역이 △시·종점 표지 위치 불일치 △시점 표지 미설치 △노면표시 미설치로 인해 부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지역별로는 연제구가 가장 저조했다. 연제구는 어린이보호구역 16곳 중 단 1곳(6%)만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보호구역이 가장 많은 부산진구(32곳)와 해운대구(32곳)는 각 7곳(21%)만 기준을 충족했다. 충족 비율 50%를 넘긴 지자체는 중구(75%), 강서구(52%) 등 두 곳뿐이었다.

부적합 사항에는 어린이보호구역 시·종점 표시와 노면 표시가 제대로 돼 있지 않은 곳이 다수였다. 어린이보호구역 시점 표지 하부에 노면 표시가 돼 있지 않은 곳이 192개 구역(398곳)으로 가장 많았다. 시점 표지가 설치돼 있지 않은 곳도 108개 구역(171곳)에 달했다. 시·종점 표지가 다른 위치에 설치된 곳은 77개 구역(100곳)으로 확인됐다.

어린이보호구역 내 철거하도록 규정한 노상주차장도 부산 곳곳에 운영되고 있었다. 노상주차장에서는 운전자들이 차량 사이로 나오는 아이들을 쉽게 확인하지 못해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잦다.

현행 규정에는 어린이보호구역 지정 구간에는 노상주차장을 운영할 수 없다. 부산진구와 남구, 해운대구, 사하구, 사상구의 어린이보호구역 16개 구역에서는 노상주차장 199면이 운영되고 있다. 이 중 차도와 보도가 분리되지 않아 사고 위험이 큰 ‘보차혼용 도로’에 설치된 노상주차장은 11개 구역에 100면으로 확인됐다. 시는 사상구와 해운대구, 남구, 사하구 등 5개 지자체에 어린이보호구역 내 노상주차장을 폐지할 것을 요구했다. 한편 운전자가 어린이보호구역을 인식할 수 있는 노면 표시가 설치되지 않은 곳도 전체 306곳 중 60%인 183곳에 달했다. 시 한상우 감사위원장은 “어린이 보호구역은 어린이를 교통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특별히 지정된 구간임에도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며 “각종 위험요소를 사전에 발굴해 안전 감찰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글·사진=김한수 기자 hangang@


김한수 기자 hang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